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중고도서
  • 건강 / 의학 (중의,한의학)
증맥 방약합편 (證脈 方藥合編)  -黃道淵 著-  惠庵先生遺稿 證脈方藥合編 乙酉仲秋治洞新刊 /木板本
증맥 방약합편 (證脈 方藥合編)  -黃道淵 著-  惠庵先生遺稿 證脈方藥合編 乙酉仲秋治洞新刊 /木板本
중고
증맥 방약합편 (證脈 方藥合編) -黃道淵 著- 惠庵先生遺稿 證脈方藥合編 乙酉仲秋治洞新刊 /木板本
  • 정가 0원
  • 판매가 300,000원
  • 저자惠庵先生 黃道淵 著
  • 출판사刊寫者未詳
  • 출간일 1884
  • 적립금 15,000 적립
  • 수량
  • 배송료 기본 배송료 3,000원 / 25,000원 이상 무료배송

앞뒤표지모두있지만 좀 헐어서 전 소장자가 마분지로 겉표지를 만들어서 보관한책으로 파본및 낙장은 없습니다.
<이 책은 황도연(黃度淵)이 찬하고 그의 아들 泌秀가 편집·간행한 것을 1887년 현공렴이 다시 개정하여 간행한 한의서이다. 
    원저자인 황도연(1807-1884)의 본관은 창원(昌原), 호는 혜암(惠庵)이며, 철종조에 무교동에서 찬화당(贊化堂)이라는 약방을 운영하였으며, 고종 때 전의(典醫)를 역임하였다(朝鮮圖書解題, 古鮮冊譜). 그의 저서로는 철종 6년(1855)에 『부방편람(附方便覽)』 14권, 고종 5년(1868) 『의종손익(醫宗損益)』12권과 부록(損益本草) 1권, 1869년(고종 6) 『의방활투(醫方活套)』1권이 있다. 그리고 말년에 왕인암(王忍庵)의 『본초비요(本草秘要)』와 『의방집해(醫方集解)』를 합편한 방법으로 『의종손익(醫宗損益)』의 부록인 「손익본초(損益本草)」와 1869년에 편찬한 「의방활투(醫方活套)」에 용약강령, 구급, 금기 등을 추가하여 책명을 『방약합편』 이라 하여 간행하던 중 고종 21(1884년) 8월 17일에 별세하자 그의 아들 필수(泌秀)가 4개월 후인 12월에 완성하였다. 
    황필수(黃泌秀)는 조선 고종 때의 학자이며, 혜암 황도연의 아들로 생몰연대는 확실치 않다. 그의 호는 신촌(愼村)이며, 업적으로는 『방약합편』 외에도 『명물기략(名物記略, 1870)』, 『달도집주대전(達道集註大全, 1874)』, 『교정규장전운(校正奎章全韻)』과 『백과기법(百戰奇法, 1883)』, 『어정규장전운(御定奎章全韻, 1887)』, 『증보사례편람(增補四禮便覽, 1900)』, 『신식유서필지(新式儒胥必知, 1901)』와 『증산염락풍아(增刪溓洛風雅, 1902)』, 『진수당감정시행간례휘편(進修堂監訂時行簡禮彙纂, 1902)』, 『상제유초(喪祭類抄, 1911)』, 『척사론(斥邪論)』 등의 많은 서적을 교정, 또는 개정·증보하여 간행하는 업적을 남겼으며, 또한 안정복(安鼎福)의 하남지남(下學指南)을 1879년에 직접 필사한 필사본이 국립중앙도서관에 전하고 있다. 
    황필수는 부친의 유고(遺稿)를 정리한 뒤 출판인 현공렴에게 간행을 의뢰하였다. 현공렴(玄公廉; 자는 渼隱, 호는 酉齊)은 황필수의 의뢰를 받아들여 고종 22년(1885) 2월에 야동(冶洞; 풀뭇골, 현 중구 순화동)에서 본 의서를 간행하였으며, 동 8월에는 미동(美洞; 곤당골, 茶洞, 현 을지로 1가)에서 현공렴이 『중정방약합편(重訂方藥合編)』이란 서명으로 간행하였다. 그 후 1887년 본 해제본인 『신증증맥방약합편(新增證脈方藥合編)』을 증보하였다. 
    장정은 오침안법(五針眼法)으로 편철되었으며, 표지에는 ‘방약합편(方藥合編)’이라하여 한자로 기재되었으며, 표제지에는 가로로 서명 상단에 ‘혜암선생유고(惠庵先生遺稿)’라는 관제가 있다. 표제지 서명 하단에는 ‘내부보유방(內附補遺方)’이라 하여 부록으로 보유방(補遺方)을 추가하였다는 표시를 하고 있다. 그리고 표제지 서명 좌측에 “수업미은생근지(受業渼隱生謹誌)”라는 혜암의 제자인 현공렴의 지(誌)가 기록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龍集二十一年甲申十二月下澣 公之子不肖孤泣血謹書”라 하여 고종 21년(1884)에 혜암의 아들이 쓴 ‘방약합편원인(方藥合編源因)’이 있다. 다음 장에는 “己巳孟秋下澣惠庵書于遊藝室”이라 하여 혜암 자신이 고종 6년(1869) 가을에 유예실에서 쓴 서문을 기재하였다. 권말에는 석은보유방(石隱補遺方)이 있으며, 석은보유방을 마친 다음에 “乙酉仲秋冶洞新刊”이라는 간기(刊記)가 기재되어 있다. 야동이라면 고종 22년(1885) 2월에 간행한 지역을 말한다. 간기 다음에는 “윤증곽란자신사이후집험방(輪症癨亂自辛巳以後集驗方)”이라 하여 고종 18년(1881)이후의 경험방이 기재되어 있다. 
    이 책은 잡병제강(雜病提綱), 약성강령(藥性綱領), 활투침선(活套針線), 혜암심서방약합편(惠庵心書方藥合編(藥性歌, 醫方活套)), 석은보유방(石隱補遺方), 윤증광란자신사이후집험방(輪症癨亂自辛巳以後集驗方) 등으로 구성되었다. 
    잡병제강(雜病提綱)에서는 풍(風), 한(寒), 서(暑), 습(濕), 조(燥), 화(火), 조리비위(調理脾胃), 기(氣), 혈(血), 담(痰), 울(鬱), 적열(積熱), 제허(諸虛), 심한고냉(沉寒痼冷), 장부목맥(臟腑木脈), 잡병길흉맥(雜病吉凶脈), 옹저맥(癰疽脈), 구사맥(求嗣脈), 남녀노맥(男女老脈), 부인경맥(婦人經脈), 임신맥(姙娠脈), 사맥(死脈) 등 각 질병에 대한 맥의 상태와 치료법을 기술하였으며, 그리고 약성강령(藥性綱領)에서는 약의 성향에 대해 기술하고, 활투침선(活套針線)에서는 풍(風), 한(寒), 서(暑), 습(濕), 조(燥), 화(火), 내상(內傷)에서 부인, 소아에 이르기까지 54종의 해당 질병에 따른 약의 처방을 소개하였다. 혜암심서방약합편(惠庵心書方藥合編)에서는 약성가(藥性歌)와 의방활투(醫方活套)로 구분하여, 약성가에서는 각 약초마다 노래를 만들어 이용자들에게 기억하기 쉽도록 하였으며, 의방활투(醫方活套)에서는 증상에 따른 처방을 3통으로 나누어 제2단을 상통, 제3단을 중통, 제4단을 하통으로 구분하였으며, 또 상통(上統)은 보제(補劑: 보약이 되는 처방), 중통(中統)은 화제(和劑; 기혈을 고르게 하고 속을 편하게 하는 처방), 하통(下統)은 공제(攻劑: 병의 원인을 치료하는 처방)으로 구분하여 각 병의 증상과 처방을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약재마다 용량과 용법을 기록하여 누구나 의서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편집하였다. 보제에 해당하는 처방은 123방, 화제는 181방, 공제는 169방, 제상에는 9방, 잡방은 14방을 기재하고, 석은보유방(石隱補遺方)에서는 19방으로 모두 515방으로 약성가 515수와 동일하게 싣고 있으며, 또한 제조법, 약재손질 법, 약을 복용하는 법, 약 달이는 법과 약을 복용할 때 금기해야 할 음식(服藥食忌), 약을 제조할 때 금해야 할 것(製藥禁忌)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윤증곽란자신사이후집험방(輪症癨亂自辛巳以後集驗方)에서는 경험방들만을 모아 소개하였다. 
    형태적인 면을 보면 1책의 목판본으로 표지에는 ‘방약합편(方藥合編)’으로 표기되었으며, 다음 장에는 고종 21년(1884)에 혜암의 아들이 쓴 ‘방약합편원인(方藥合編源因)’과 혜암 자신이 고종 6년(1869) 가을에 유예실에서 쓴 서문을 기재하였다. 권말에는 석은보유방(石隱補遺方)이 있으며, 석은보유방을 마친 다음에 “乙酉仲秋冶洞新刊”이라는 간기(刊記)가 기재되어 있다. 간기 다음에는 “輪症癨亂自辛巳以後集驗方”이라 하여 고종 18년(1881)이후의 경험방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해제본은 여러 처방들이 합편되어 이용자들이 약물과 처방을 찾아보기 쉽고,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된 점이 특징이다. 
    이 책은 그 이후에도 계속해서 다양한 서명으로 간행되었다. 앞에서 밝힌 간행년도 외에도 1907년 광동서국(光東書局)에서 『신정방약합편』, 문상당(文尙堂)과 행림서원(杏林書院)에서 『신정대방약합편(新訂大方藥合編)』, 1918년 회동서관(滙東書舘)에서 『증맥방약합편(證脈方藥合編)』, 1923년 박문서관(博文書舘)에서 『원본증맥방약합편(原本證脈方藥合編)』, 1927년 공재(空齋) 이상화(李相和)가 편술하여 세창서관(世昌書館)에서 『변증방약합편(辨證方藥合編)』, 1920년 후반에서 1930년대 사이에 태화서관(太華書館)의 대표인 강하형(姜夏馨)이 중간한 후쇄본이 전하고 있으며, 그 후에도 현재까지 원본 및 번역본 등이 계속해서 간행되어 많은 의원들에 의해 실용서로 활용되고 있다.(金重權) 
 



 


 


Quick Menu 무통장계좌번호
  • 농협은행 301-0299-0079-11
  • 예금주 (주)북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