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HOME
  • 고서·희귀절판
  • 고서 / 희귀.절판도서
간재집 艮齋集 4권 2책의 석인본  - 조선 후기에 채징휴(蔡徵休)가 쓴 시문집
간재집 艮齋集 4권 2책의 석인본  - 조선 후기에 채징휴(蔡徵休)가 쓴 시문집
간재집 艮齋集 4권 2책의 석인본  - 조선 후기에 채징휴(蔡徵休)가 쓴 시문집
간재집 艮齋集 4권 2책의 석인본  - 조선 후기에 채징휴(蔡徵休)가 쓴 시문집

페이지수 : 10행20자 47장+34장 /가로 20.5cm, 세로 30.5cm

책크기 : 규격외

중고
간재집 艮齋集 4권 2책의 석인본 - 조선 후기에 채징휴(蔡徵休)가 쓴 시문집
  • 정가 0원
  • 판매가 100,000원
  • 저자채징휴(蔡徵休) 저 / 후손 채충석(蔡忠錫) 간행
  • 출판사신안서당
  • 출간일 1935-06-17
  • 적립금 5,000 적립
  • 도서 상태
  • 수량
  • 배송료 기본 배송료 3,000원 / 25,000원 이상 무료배송

4권 2책. 석인본. 1934년 후손 충석()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종한()의 서문과 권말에 충석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08수, 만사 15수, 권2에 서() 26편, 권3에 기 4편, 전() 1편, 상량문 1편, 봉안문 1편, 제문 8편, 명 2편, 잠 1편, 사() 1편, 행장 1편, 잡저 12편, 권4는 부록으로 만장 35수, 애사 1편, 제문 15편, 행장, 기, 봉안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 중 「정존음()」과 「동찰음()」은 성정의 미발()과 이발()을 설명한 것으로, 본원인 경()을 함양하고 칠정()이 발생하였을 때는 중용에 맞게 성찰하여 남이 보지 않는 곳에서도 조심해야 한다고 술회했다. 서() 중 성중거()에 보낸 여러 편 중에서는 심()의 동정(), 체용()에 대하여 설명했다.

잡저 중 「증남생종태()」는 관례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한 것이고, 「변무소통문()」은 김장생()을 문묘에 종사하게 할 때 그의 학문과 업적을 변론한 것이다. 이밖에 스승인 권상하()와 장상제()의 가례에 대하여 문답한 내용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간재집 [艮齋集]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Quick Menu 무통장계좌번호
  • 농협은행 301-0299-0079-11
  • 예금주 (주)북씨